스타일 가이드
1. 영한·일한 번역에 흔히 등장하는 구두법 및 철자 오류
영어의 또는 --
한국어 문장 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구두법이므로 문맥에 맞는 접속사 및 적당한 단어로 대체해야 합니다.
Yes/No
긍정과 부정을 함께 표현할 때는 예/아니요를 사용해 주십시오. ‘네’는 단독으로 쓰일 때,‘아니오’는 문장 내의(예:이것도 아니오,저것도 아니오)부정 표현에만 쓰입니다.
띄어쓰기 및 줄 바꾸기
비교적 사소한 오류에 속하는 내용이지만 번역가의 성실함이 드러나는 기본적인 부분이니 번역문을 제출하기 전 꼼꼼하게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2. 문법 규칙
절이 아닌 구로 이루어진 문장에 마침표 사용
영어에서는 단어나 구로 이뤄진 문장에도 마침표(.)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한글에서는 절(주어+동사가 있는 문장)이 있는 문장에만 사용해 주십시오.
느낌표의 사용
영어에서는 긍정적인 내용,밝은 표현에 느낌표를 자주 사용합니다.그러나 한국어에서 이를 남용하면 예의에 어긋나거나 상대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. 어투와 분위기에 따라 마침표로 대체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.
반각-전각의 구분
일본어에서 사용하는 전각문자(기호,스페이스 등)는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반각으로 통일해야 합니다.
부정문의 확인
원문에 not,no,aren 문장에 마침표 사용철 never 나 いけない,ない,無い 등의 부정문이 올바르게 번역되었는지 확인합니다.(올바르지 않은 경우,치명적인 오역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)
수동태 표현
~된다,~시킨다,~되어진다 등의 피동형은 영어적인 표현입니다.한국어에서는 되도록 이런 표현을 지양해 주십시오.
예)
나타냅니다 ->나타납니다
되어집니다 ->됩니다
개정되어야 ->개정해야
소유격 조사 ‘의’
영어의 of 나 일본어의 の를 그대로 모두 옮기면 어색한 번역문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.소유격의 남용을 지양해 주십시오.
예)
우리나라의 최초의 스마트폰 ->우리나라 최초의 스마트폰
문서의 인쇄 ->문서 인쇄
3. 현지화(Localization)규칙
원문에 국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단위가 나올 경우,고객에게 문의하고 적합한 단위로 바꿔 표현해야 합니다.(예.파운드,피트,온스,마일 등)
숫자 표현 시 콤마(,)와 도트(.)를 철저히 구분해야 합니다. 세 자리마다 쉼표를 찍는 것이 올바른 한국어 숫자 표현입니다.이를 점으로 대신하는 국가도 있으니 작업 시 이에 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(예:490.21vs.49.021vs.49,021)
4. <초보 번역가를 위한 팁>
영한 번역 업무 시 다음 사이트를 참조해 주십시오.
어학 사전:http://dic.naver.com/
한국어 맞춤법/문법 검사기:http://speller.cs.pusan.ac.kr/
외래어 한글 표기 상호 변환기:http://loanword.cs.pusan.ac.kr/
5. 번역후의 최종 확인
번역후에는 스펠링 체크 기능(MSWord등의 기능)을 실행해서 오타 등을 확인합니다.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부분이 있는지,그리고 그 제한내로 번역했는지 확인합니다. 더블 스페이스 등 불필요한 스페이스나 문자가 없는지 는검색&치환”색등의 기능으로 확인합니다. 번역시에 원문 그대로 남기거나 특정 용어에 대해 지정된 번역어를 올바르게 사용했는지 확인합니다